종묘와 종묘제례 - 이욱|한형주|신진혜|구혜인|이정희|강문식|이수정 지음
종묘와 종묘제례

저자 : 이욱 , 한형주 , 신진혜 , 구혜인 , 이정희 , 강문식 , 이수정

발행일 : 2024년 12월 30일 출간

분류 : 역사 > 한국사 > 한국문화사 KDC : 종교(200)

정가 : 22,000원

출판사
출판사연락처
출판사 주소
쪽수
336
ISBN
9791158667948
크기
150 * 225 mm

도서분류

역사 > 한국사 > 한국문화사
역사 > 문화사 > 한국문화사

도서소개

종묘의 역사적 위상과 그 실체 종묘는 사직과 더불어 조선왕조의 대표적인 상징 공간이다. 이곳에 모신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는 왕위 전승의 계보를 드러내고, 그들의 공덕을 기리며 때마다 열린 성대한 의례는 왕권의 지엄함을 시각화했다. 조선 팔도에서 나는 각종 음식과 희생을 올리고 음악, 무용 등을 대동한 의식은 실로 웅장했다. 종묘는 그 위상에 걸맞게 역사, 종교, 미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십수 년간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그 결과, 의례집에 따라 이곳에서 치러진 국가의례의 형식과 절차가 정리되고, 여기서 드러나는 유교적 상징성이 밝혀졌다. 그에 반해 실제로 국가의례를 수행하는 인적・물적 기반은 아직까지도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종묘의 일상적이고 주변적인 것들도 조명받지 못함은 마찬가지다.

저자소개

저자 이욱 종교학 전공,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소장 『조선시대 재난과 국가의례』, 『조선 왕실의 제향 공간: 정제와 속제의 변용』,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喪葬禮): 애통·존숭·기억의 의례화』 등 조상제사 어떻게 지낼 것인가 『수향편』으로 읽는 조선 후기의 문화와 제도 숙종 대 왕실문화(장서각한국사강의 27) 일제강점기 이왕직 연구 일기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림의 일상세계 대한제국의 전례와 대한예전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양장본 Hardcover) 조선 왕실의 제향 공간(양장본 Hardcover) 저자 한형주 조선시대 의례 전공, 성북선잠박물관장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 『종묘와 궁묘: 조선 왕실의 조상제사』, 『조선시대 공주와 부마』 등 조선시대 공주와 부마(양장본 Hardcover) 종묘와 궁묘(양장본 Hardcover) 밭 가는 영조와 누에 치는 정순왕후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조선의 국가 제사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 저자 신진혜 한국사학 전공,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조교수 『조선시대 의례 연구의 현황과 지평의 확장』(공저), 「『奮武錄勳都監儀軌』를 통해 본 영조대 奮武功臣 錄勳 과정」, 「조선후기 各道의 薦新進上과 그 禮獻의 의미」 등 일기로 본 사족의 의례 생활 저자 구혜인 미술사학 전공,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공동연구원 『대한제국기 황실 의례 연구』(공저), 「조선후기 국장(國葬)용 제기(祭器)의 조성과정과 성격」, 「Royal Dragon Jars in the Joseon Dynasty: Perspectives of Rituals, Hierarchy, and Desire」 등 한식문화사전 한국미술: 전통에서 현대까지 저자 이정희 한국음악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화예술학부 조교수 『궁궐의 음악문화』, 『대한제국 황실음악: 전통과 근대의 이중주』, 『근대식 연회의 탄생: 대한제국 근대식 연회의 성립과 공연문화사적 의의』 등 텐 보이스 2 텐 보이스 궁궐의 음악문화(양장본 Hardcover) 대한제국의 전례와 대한예전 대한제국 황실음악(양장본 Hardcover) 근대식 연회의 탄생: 대한제국 근대식 연회의 성립과 공연문화사적 의의(양장본 Hardcover) 저자 강문식 조선시대사 전공,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 『권근의 경학사상 연구』, 『종묘와 사직』(공저), 「정조 『朱文手圈』 편찬의 목적과 의의」 등 정몽주 다시 읽기(큰글자도서) 정몽주 다시 읽기 적상산사고의 운영과 봉안 자료 연구 조선 왕조 존각 봉모당의 자료 연구 노강서원 화양서원(양장본 Hardcover) 왕실 서고 봉모당의 건립과 운영 지식의 확산과 공유(양장본 Hardcover) 고등 국어 자습서(류수열)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 왕과 아들 저자 이수정 한국음악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경성의 소리문화와 음악공간』(공저), 『100년 전 경성의 음악공간을 산책하다』(공저), 「조선신궁예제와 이왕직아악부」 등 한반도의 국민음악: 음악,국민,국가 운정 성락서의 현실인식과 리더스피릿(양장본 Hardcover) 100년 전 경성의 음악공간을 산책하다

목차

조선시대 종묘 부묘례의 절차와 성격│이욱 1. 머리말 2. 부묘의 시기 3. 신주의 입문 의례 4. 부묘 의물의 준비 5. 사왕의 왕위 계승 6. 맺음말 조선시대 종묘 배향공신의 제도적 정비와 숙종~정조 대의 배향공신│한형주 1. 머리말 2. 초기 배향공신의 선정 3. 배향공신 선정의 제도적 정비 및 제사 과정 4. 숙종 대 배향공신의 출척 5. 영・정조 대의 배향공신 6. 맺음말 조선시대 종묘 제향과 의식│신진혜 1. 머리말 2. 오향대제 3. 삭망 속절제향, 기고, 천신 4. 전알과 묘현 5. 맺음말 조선시대 종묘 오향대제용 제기의 구성과 성격│구혜인 1. 머리말 2. 제상 진설용 제기의 구성 3. 준소상 진설용 제기의 구성 4. 오향대제용 제기의 유기적 성격 5. 맺음말 조선시대 종묘악장의 추이│이정희 1. 머리말 2. 세종 대와 세조 대의 종묘악장 제작 3. 성종 대 예악 정비와 종묘악장 정립 4. 숙종 대 종묘악장의 혼돈과 중광장 5. 영・정조 대 종묘악장 정비 6. 맺음말 조선시대 종묘서 관원 연구│강문식 1. 머리말 2. 종묘서 제조직의 운영 3. 종묘서 전임 관원의 운영 4. 맺음말 일제강점기 종묘제례악의 변화│이수정 1. 머리말 2. 이왕가의 종묘제례 3. 일제강점기 종묘의 종묘제례악 4. 일제강점기 종묘 밖의 종묘제례악 5. 맺음말

서평

□ 종묘와 종묘제례, 새로운 연구의 시작 이 책은 앞서 말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종묘와 종묘제례를 크게 세 가지 시각에서 새롭게 바라보고자 했다. 첫째, 형식과 절차를 넘어 종묘와 종묘제례의 구체적인 실재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종묘를 관리하고 의례를 수행했던 종묘서 관원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본격적으로 탐구하고, 악장 등 의례의 실제 운영 과정에서 있었던 우여곡절과 그에 따른 노력이 드러날 수 있게 했다. 둘째, 그동안 소홀하게 여겨졌던 종묘의 작은 요소마다 눈길을 주는 미시사적 연구를 시도했다. 선왕의 신주를 들이고 새로운 왕이 등극하는 부묘례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제상과 준소상에 올라가는 제기들도 세세하게 들여다보며 그들 간의 유기성을 밝혔다. 또 종묘의 주인은 왕과 왕비이지만, 그와 더불어 배향공신을 선정하고 입묘한 과정이 있었다는 사실을 조명했다. 마지막으로, 고요하고 정적인 인상에서 탈피하여 시대마다 변화를 거듭하는 종묘의 역동적인 면모를 볼 수 있게 했다. 종묘의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해 관련 제도들이 세심하게 정비되고 확립되어가는 과정을 고찰하고,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종묘가 일본 천황가의 방계 친족인 이왕가의 사당으로 전락한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 책이 종묘와 종묘제례를 수행 주체와 물적 기반 위에서 이해하고, 그 역사적·문화적 층위를 보다 정교하게 바라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목록
장바구니 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