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함이 인격이다 - 김선희 지음
다정함이 인격이다

저자 : 김선희

발행일 : 2025년 02월 03일 출간

분류 : 인문학 > 심리학 > 교양심리 KDC : 철학(180)

정가 : 19,800원

신간안내문 : 다운받기

출판사
출판사연락처
02-334-3339
출판사 주소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70-4, 1층
쪽수
312
ISBN
9791162183397
크기
140 * 210 mm

도서분류

인문학 > 심리학 > 교양심리

도서소개

인간 본성이 원하는 것은 마음과 마음의 연결이다. 서로의 취약성과 아픔을 헤아리는 다정한 관계에서 인간과 인간은 깊이 연결된다. 갈등이 만연하고 인간 존엄까지 파괴되는 현대사회에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부부 및 가족 관계 임상심리전문가 김선희가 그 해답으로 ‘다정함’을 제안한다. ‘다정함’은 서로가 고군분투하는 가녀린 인간임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현대사회의 부정적 단면에는 갈등의 심화가 있다. 한국 사람 특유의 ‘정’을 거론하면 거리낌 없이 경시당한다. 나 혼자 살아내기도 바쁜데 다른 사람 챙길 여유가 어디 있냐며 되레 성화다. 다른 사람을 보살피고 그들의 형편을 이해할 여유, 다정함이 실종되고, 나의 입장이나 권리를 외치다 보니 갈등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가장 가까운 부부 사이, 가족 관계에서도 그러할진대, 대문 밖 타인을 살피는 성숙한 마음가짐, 그들을 향한 인격적 대우가 가능할까. 임상심리학에 몸담은 지 34년. 임상심리전문가로서 현장에서 수많은 내담자를 상담하며 인간 본성을 깊게 들여다본 저자는 개인의 관계, 가족과 가정을 넘어 사회에 만연한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갈등의 원인과 형태를 분석하고, 갈등 해결이 요원한 우리 사회에 ‘다정함’이 시급하게 처방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가 말하는 다정함의 본질은, 상대가 자신의 취약함을 극복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가녀린 인간임을 이해하고 혼자가 아니라고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내가 아픈 만큼 상대도 아프고, 내가 힘들어하는 만큼 상대도 힘들어한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그 마음을 보듬어주는 것이 우리 사회의 고질적 갈등을 해결하고 나와 너, 우리가 결속해 살아갈 수 있는 비결이다. 이러한 마음가짐을 다질 때 우리는 연합군이 되며, 수시로 불어닥치는 위기와 역경, 고난과 고통을 성장의 부름켜 삼아 인격적으로 살아낼 수 있다고 저자는 담대히 전하고 있다. 다정함을 실천하는 성숙하고 품격 있는 인간 《다정함이 인격이다》에서는 다정함의 정의를 ‘사람으로서의 품격’, 곧 ‘인격’으로 지칭한다. 마음과 마음을 잇고 인간과 인간을 잇는 결속의 이해와 실천은 우리 인간이 마땅히 가져야 할 품격이자 인격이기 때문이다. 부부 관계, 가족 관계 임상심리전문가로 현장 및 강단에서 오랫동안 활약해 온 저자는 이 책에서 다정함의 방향이 외부로 향하는 것도 중요하나 먼저 상처받기 쉽고 미처 보살피지 못한 자신의 내면으로 향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지치고 피로한 나, 타인의 폭언과 무심한 행동으로 인해 마음이 깨진 나, 텅 빈 내면의 소리를 무시하고 외연만 추구하는 나, 위기 앞에서 잔뜩 움츠리고 불안에 떠는 나… 소중히 돌보고 관리해야 할 자신을 외면하고 우리 스스로를 차갑게 방치하지 않았나 돌아보자고 다정히 제안한다. 나에게 주어진 역량에 따라 최선을 다해 살고 있다면 소모적인 분투와 질책을 멈추고 스스로에게 지금껏 수고 많았다고, 추스르고 다시 시작해 보자고 용기 내어 말해주는 것이 진정한 다정함이라고 말이다. 이것이 곧 ‘나의 목소리’를 들으며 나다움을 향해 가는 것이기도 하다. 나아가 저자는 나와 다른 타인을 수용하는 방법들을 세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 첫 단추는 상대의 연약함과 취약성을 끌어안는 다정함의 실천이라고 말한다. 너와 내가 다름을 분명히 인지하고 말 한마디, 작은 행동 하나로 상대를 품을 수 있다. 나 개인에서부터 가족 간, 나아가 사회 안에서 서로가 연결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다정함’의 실천이다. 이 실천이야말로 우리 눈앞에 도래한 ‘마음의 시대’를 살아가는 참된 길이며, 역경을 소화해 내는 품위 있는 태도의 근간이다. 다정함은 섬세하지만 단순하기도 하다. 일례로 “내가 있잖아.”라는 말은 먼저 타인의 아픔과 필요를 섬세히 감지하고 공감해야 한다. 그렇지만 말 자체는 대단한 기술을 요하는 것이 아니다. 너무나 당연하고 평이해서 굳이 말하지 않고 건너뛰어도 알 것이라 여기는 이도 많다. 그러나 평이하고 단순한 이 말의 효과를 무시해서는 안 될 일이다. 이 말 하나로 누군가의 상처받은 마음이 치유되고, 크게 위로받는다. 이 말 하나로 파괴될 뻔하던 한 가정이, 갈등과 분열로 휘청거리는 이 사회가 서로 연합하고 회복될 수도 있음을 기억하자.

저자소개

지은이 | 김선희 한국임상심리학회 공인 임상심리전문가이자 보건복지부 공인 1급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임상심리학을 토대로 정신병리와 심리치료, 대인관계 적응 및 역동을 탐구하고, 과학적으로 검증된 이론과 지식을 풍부한 임상 경험에 녹여내며 많은 내담자를 돕고 있다. 특별히 부부심리치료 분야에 전념하여 부부와 가족관계 전문 임상가로 내담자와 함께한 지 어언 24년 차.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방대한 부부 상담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김선희부부상담센터’를 개소하여 수천 쌍의 부부가 회복과 재생의 삶, 탁월한 관계, 성숙한 사랑을 성취하도록 평생 헌신해 왔다. 한국임상심리학회 산하 부부문제 및 치료연구회 회장을 역임하며 전문가 그룹의 교육과 역량 강화에도 힘써왔다. 연세대학교 학사, 석사를 거쳐 동 대학원 임상심리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신촌세브란스병원과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임상심리 수련과정을 마쳤고 연세대 심리상담센터에서 카운슬러와 수련감독자를 역임했다. 연세대학교에서 7년간 강단에 섰으며 한림대학교에서도 학생들을 가르쳤다. 서울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도 초청 강의와 특강을 진행했다. 깊이 있는 심리치료와 교육, 참된 글쓰기를 위해 오늘도 탐구와 성찰을 반복하고 있다.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초청 강연과 워크숍을 포함한 학술 활동, 전문가 교육 및 연수, 강의, 기업 및 대중 강연, 방송과 기고 활동을 통해서도 임상가로 닦아온 탁월한 전문성과 경험을 활발히 풀어내 왔다. 지은 책으로 《가까운 사람들과 편하게 지내는 법》, 《내 남자 안아주기》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며 1장 마음이 깨진 당신에게 왜 그 사람은 말을 함부로 할까 지치고 피로한 나를 먼저 살필 것 마음이 깨졌을 때 행복을 추앙하지 말 것 걱정과 사랑을 혼동할 때 자존감의 덫 자기 수용과 저공비행 손상을 회복하려는 시도 외도, 그 트라우마 희생도 지나치면 독이 된다 감정이 과잉일 때 폭력, 그 치명성 텅 빈 내면의 소리 넋두리와 하소연 남 탓의 늪 완벽한 문제 해결은 없다 2장 다름을 수용하는 새로운 방식 상대방을 몰아붙이지 말 것 비판을 녹여내는 심리적 용광로 자기 확신이 도를 넘을 때 원망의 심리학 치명적 붕괴를 가져오는 사소한 일 연약함과 취약성 끌어안기 우울한 현실주의, 나쁘지 않아 상자에서 나오기 현실을 받아들이다 부부, 두 사람의 대서사 성격 차이 넘어서는 법 상대의 서운함 싸움의 자리를 옥토로 갈등을 극복하는 능력 자녀, 성인이 되다 자녀가 선을 긋는다면 위기는 일찍 만나 수습할 것 낡은 나 떠나보내기 3장 다정이 필요한 매 순간 내가 나를 도울 수 없을 때 인간은 언제 변하는가 선을 지키는 사랑 고통을 해석하는 능력 나 원래 그래요 사랑의 반대말 헤아리고 덜어주는 관계 부부간 돌봄의 실체 인간 본성의 이해 다정함의 근원이자 필요조건 한 땀씩 꿰어지는 친밀함 일상을 나누는 대화 4장 결국 상처는 아문다 마음의 환부를 치료하는 눈물 모든 집안에는 비밀이 있다 가해자를 마음에서 떠나보낼 것 행복에 이르는 길은 몇 개일까 최적의 나로 거듭나는 길 성장의 조건 하강 성장 내가 있잖아 분노를 다루는 힘 충분히 슬퍼하고 떠나보낼 것 일생의 사랑을 위해 상대를 편안하게 해주는 사람 함께 기뻐하는 사람들 시시비비 대신 역지사지 조심스런 사랑 홀로 있을 수 있는 능력 자유로운 애착 되찾는 관계 용서의 마음 광야에 서다 인생은 축제와 같은 것
목록
장바구니 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