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건강과 그 결정요인 11
제1장. 건강과 건강 결정요인 모형
들어가는 말 12
1. 건강이란 무엇인가? 14
2. 건강하지 않은 상태, 질환, 질병 그리고 죽음 26
3. 건강 결정요인을 설명하는 틀, 건강모형 33
요약 및 마무리 41
제2장. 일반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그리고 환경요인
들어가는 말 43
1. 사회경제적 환경 가장 중요한 건강 결정요인 45
2. 건강 결정요인으로서 문화 49
3. 정치적 요인, 남북한 건강 격차의 원인 52
4. 건강 결정의 주요 변수가 된 자연환경 54
요약 및 마무리 79
제3장. 생활 및 근로 조건
들어가는 말 81
1. 실직, 공중보건 문제 83
2. 직업병, 작업관련성질환, 산업재해 그리고 스트레스 84
3. 물과 위생, 너무나 당연한 건강 조건 90
4. 식량 및 농업, 영양부족과 영양과잉의 공존 시대 91
5. 무주택과 주거 불안정, 공중보건 문제 92
6. 사회경제적 지위와 교육 수준, 가장 중요한 건강 결정요인 95
7. 보건의료서비스의 양면성 99
요약 및 마무리 109
제4장. 사회와 지역 내 관계망
들어가는 말 111
1. 사회적 자본이란? 114
2. 사회적 자본, 건강의 결정요인 116
3. 사회적 자본의 두 얼굴 124
요약 및 마무리 126
제2부. 개인 차원의 건강 결정요인 129
제1장. 개인의 생활양식 요인 - 총론
들어가는 말 130
1. 생활양식, 생활습관 그리고 건강행태 131
2. 건강에 바람직한 생활양식 132
3. 생활양식, 사망의 거의 절반에 기여 136
요약 및 마무리 138
제2장. 개인의 생활양식 요인 - 각론
Ⅰ. 비흡연
들어가는 말 139
1. 남자는 높고 여자는 낮은 우리나라 흡연율 141
2. 흡연은 건강에 백해무익 142
3. 흡연의 사회경제적 비용 152
4. 안전하지 않은 전자담배 152
5. 흡연에 대한 전문 기관의 권고 및 금연 도움말 154
요약 및 마무리 156
Ⅱ. 좋은 식습관
들어가는 말 157
1. 우리나라 식습관, 과일과 채소 섭취 감소 추세 159
2. 과다 섭취가 문제가 되는 식이 요인 160
3. 충분한 섭취가 권장되는 식이 요인 168
4. 기호식품, 커피와 차 171
5. 채식이 건강에 더 좋을까? 173
6. 소식, 간헐적 단식 그리고 아침 결식 176
7. 영양제보다 건강한 식단 179
8. 식습관에 대한 기관 권고 및 도움말 180
요약 및 마무리 183
Ⅲ. 신체활동
들어가는 말 185
1. 우리나라 사람의 부족한 신체활동 187
2. 왜 신체활동을 권장하는가? 188
3. 신체활동의 유형, 빈도, 강도, 지속 시간 194
4. 부상의 위험이 있는 너무 심한 운동 201
5. 신체활동에 대한 기관 권고 및 도움말 202
요약 및 마무리 205
Ⅳ. 적정(건강) 체중 유지하기
들어가는 말 206
1. 세계적으로 낮은 우리나라 비만율 208
2. 과체중과 비만의 원인, 생활습관과 환경 210
3. 과체중과 비만이 높이는 질병 및 사망위험 211
4. 적정 체중 유지와 체중 감량, 생활습관 개선과 환경 조성 215
5. 체중에 대한 기관 권고 및 도움말 220
요약 및 마무리 222
Ⅴ. 절주 혹은 금주
들어가는 말 223
1. 우리나라 음주 통계, 남자에서 높은 음주율과 고위험음주율 225
2. 건강과의 연관성, 음주의 양면성 226
3. 음주의 영향, 술의 종류냐 음주 행태냐? 237
4.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238
5. 음주에 대한 전문 기관의 권고 및 절주 도움말 239
요약 및 마무리 241
Ⅵ. 스트레스 관리
들어가는 말 242
1. 우리나라 스트레스 인지율 244
2.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244
3. 건강과의 연관성,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 250
4. 관리가 가능한 스트레스 253
요약 및 마무리 258
Ⅶ. 충분한 수면
들어가는 말 259
1. 늦게 자고 적게 자는 우리나라 사람 261
2. 수면과 건강의 연관성, 좋은 잠의 중요성 261
3. 수면 부족, 박탈 및 수면 장애 264
요약 및 마무리 267
Ⅷ. 건강검진 받기 및 그 외 건강행태
들어가는 말 268
1. 소득수준에 비례하는 건강검진율 270
2. 일차예방과 이차예방 270
3. 건강검진의 두 얼굴, 이득과 해 271
4. 건강검진에 대한 전문 기관의 권고 275
요약 및 마무리 278
제3장. 연령, 성별 그리고 유전적 요인
들어가는 말 281
1. 건강과 질병의 주 결정요인, 연령과 성 283
2. 건강 결정요인으로서 유전적 요인 285
3. 유전자 연구와 의학의 미래 289
요약 및 마무리 289
제3부. 건강증진,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
건강, 행복 그리고 건강증진 296
제1장. 기후 변화 대응
들어가는 말 302
1. 시간이 부족한 기후변화 대응 304
2. 기후변화 대응, 완화와 적응 307
3. 기후변화 대응 방안의 실현 탈탄소 사회로 가는 길 315
4. 환경보건 관리의 원칙 321
요약 및 마무리 325
제2장.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대책
들어가는 말 327
1. 우리나라에서 건강수명이 가장 높은 성남시 분당구 329
2. 건강 형평성 제고를 위한 사회적 결정요인 대책 333
3.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로 가는 길 341
요약 및 마무리 346
제3장. 건강에 바람직한 행태를 위한 건강증진
들어가는 말 348
1. 생활양식은 개인의 선택이자 환경의 산물이다. 350
2. 건강증진 어떻게 하나? 352
3. 건강 형평성과 건강증진 360
요약 및 마무리 366
참고문헌373
제1부. 건강과 그 결정요인
제1장. 건강과 건강 결정요인 모형 374
제2장. 일반적인 사회경제적, 문화적 및 환경적 요인379
제3장. 생활 및 근로 조건 389
제4장. 사회와 지역 내 관계망 398
제2부. 개인 차원의 건강 결정요인
제1장. 개인의 생활양식 요인 - 총론 403
제2장. 개인의 생활양식 요인 - 각론 403
제3장. 연령, 성별 그리고 유전적 요인 436
제3부. 건강증진,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
건강, 행복 그리고 건강증진 441
제1장. 기후 변화 대응 442
제2장.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대책 448
제3장. 건강에 바람직한 행태를 위한 건강증진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