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풀어쓴 고급 영문법 [개정3판] - 이종한 지음
쉽게 풀어쓴 고급 영문법 [개정3판]

저자 : 이종한

발행일 : 2025년 01월 15일 출간

분류 : 외국어 > 영어문법/독해/작문 > 영어문법 > 일반문법 KDC : 언어(740)

정가 : 28,000원

신간안내문 : 다운받기

출판사
출판사연락처
02) 6925-0370
출판사 주소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56 LG팰리스 917호
쪽수
288
ISBN
9791172230579
크기
188 * 257 mm

도서분류

외국어 > 영어문법/독해/작문 > 영어문법 > 일반문법

도서소개

<책의 내용을 유튜브 채널로 질문하며 쉽게 답을 찾는 영문법> 2017년에 나와 꾸준히 사랑받았던 개정판의 일부 내용을 보완하고 설명과 예문 등을 추가한 개정3판이다. 개정3판 역시도 영문법 문제를 대하는 수험생들이 어려움 없이 문제를 풀도록 도와준다. 특히 저자가 유튜브 채널(상호작용 영문법)을 개설하여 독자가 책을 보고 언제든지 유튜브를 통해 질문할 수 있도록 했다. 책을 내고 나면 끝이 아니라 판매 이후까지 책의 내용에 책임을 지는 애프터서비스가 도입된 셈이다. 자신의 어법 수준을 전국의 수험생들에게 평가받아 보고 싶은 목적으로 이 책을 펴냈다는 저자는 이 책을 구입한 모든 독자들이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하는 어떤 질문에도 성실히 답변할 생각이다. 저자는 독자와 쌍방향으로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서 독자가 빠르게 영어 실력을 키우고 시험에서도 고득점을 얻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집필에 정성을 다했다고 밝힌다. <실전에서 유용한 문제유형 중심으로 구성> 책은 학습 과정 자체가 쉽기도 하지만 다른 책들과 달리 ‘인강’을 시청하며 영문법을 공부하는 듯한 착각이 들 만큼 내용이 생생하고 유용하다. 내용 대부분을 어법적인 설명에 할애하여 비슷한 어법끼리 서로 비교, 대조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은 짧은 시간에 영문법 이해력을 빠른 속도로 향상하게 한다. 책은 또 기존의 대부분 영문법 책들이 큰 제목이 중심인 것을 탈피하여 수능, 토익, 토플, 기타 영문법 시험에서 볼 수 있는 문제유형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기본적인 영문법 지식이 부족한 수험생이라도 약간의 논리적 사고력만 가지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수능 어법 문제에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대부분 언급하여 쉽게 찾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 <일방적인 영문법은 가라! 독자와 상호작용하는 쌍방향 영문법> 이번 개정3판을 출판하며 저자는 개정3판 발행에 앞서 유튜브 ‘상호작용 영문법’ 채널을 개설해서 독자 여러분들에게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통로를 마련했다. 저자로서 이 책의 내용 중 혹 어려운 부분은 유튜브 해설을 통해서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자세로 채널을 준비한 것이다. 그런 만큼 이 책을 보는 독자 누구나 필요한 사항은 저자에게 직접 질문하며 삐르게 궁금증을 해소하고 실력을 키울 수 있다. 저자는 이에 대해 “어법, 해석, 문제풀이 등 다양한 질문에 충분히 대답할 준비가 되었다”면서, “이 책과 유튜브를 통해서 독자 여러분의 영어 수준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기회의 장이 되기 바란다”고 밝힌다.

저자소개

이종한 - 한국외대 영어과 졸업 - 수능영어 강의 20년 - TOEIC 980점 - 현 고등수능영어 원장

목차

제1장 가주어·가목적어 1. 명사상당어구와 가주어(it)/진주어, 그리고 강조 구문 2. 가주어(it)/가목적어(it)의 발생이유 → 외치(外置) 3. It is+형용사+to~/It is+형용사+that~구문(외치구문)의 표현 4. too~to~ 구문에서 so~that~ 구문으로의 전환시 유의할 점 5. 주어가 가주어(it)인 경우 종속절이며 진주어절인 that절을 구(phrase)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두 가지 현상 제2장 분사, 동명사, 부정사 1. 절(clause)을 구(phrase)로 전환하는 2가지 방법 2. it seems that~의 단문 전환 3. He is said to be a teacher 표현이 나오기까지(‘준동사의 시제/준동사의 완료시제 표현’ 참조) 4. He is believed to have been rich 표현이 나오기까지(‘준동사의 시제/준동사의 완료시제 표현’ 참조) 5. 주격보어로 쓰이는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에서 to가 생략 가능 한 경우 6. 분사구문의 발생 이유 7. 분사구문의 역추론 방법(타동사 watch를 예로 들었을 때) 8. 접속사와 동사, 그리고 분사의 상관관계 9. 분사구문에서 접속사가 남는 이유 49 10. 자동사의 분사/타동사의 분사 11. 동사/준동사의 구분도표 및 어법문제의 이해(타동사 kill을 예로 들었을 때) 12. 동명사와 ~ing형 분사의 구분 13. 분사와 동사의 구분 14. 분사의 주체 15. 4형식 동사(간·목+직·목)의 분사구문 16. 분사구문에서 생략되는 being 17. 분사구문이 들어간 문장 해석하기 18. 분사구(문)와 전치사구(형용사구)의 어법적 유사성 19. when speaking(분사)과 when to speak(부정사)의 차이 20. 통격과 동명사 21. with가 들어간 분사구문의 표현 22. in order to를 표시하는 이유 제3장 동사, 조동사 1. 상태동사와 행위동사의 구분 2. 생각하다(think/believe/imagine/suppose/guess)는 의미를 가진 동사의 간접의문문에서의 어순 3. 불완전 자동사(become/get)의 수동태(be+p.p) 표현 4. 타동사의 역할을 하는 자동사+전치사(타동사구)의 표현 5. be 동사의 1형식, 2형식 표현 6. 조동사와 일반동사의 역할을 겸하는 have, be 7. 명령문+or/and의 표현 제4장 관계사 1. 편리하게 쓰이는 관계대명사/접속사 that의 제약 2. 접속사 that/관계대명사 that/동격접속사 that/관계대명사 what 의 구분 3.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형용사, 복합관계부사의 이해 4. how/however와 who/whoever의 구분 5. 이중 관계대명사의 이해 106 6.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부사와 종속접속(부)사의 표현 7. 생략된 접속사와 생략된 관계사의 인식 8. 관계(의문)대명사(who, what, which)와 관계(의문)부사(when, where, why, how)의 비교 ① 9. 유사 관계대명사의 표현 10. 삽입절이 들어간 관계대명사절의 표현 ① 11. 삽입절이 들어간 관계대명사절의 표현 ② 12.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비교 ② 13.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분석 소유격 관계대명사를 쉽게 인식하는 방법 14. which(what)와 whether의 구분 15. what과 whatever(whichever)의 구분 16. which is(that is 또는 who is)의 생략 이유 17. 콤마(,) 다음에 올 수 없는 관계대명사 that과 what 18. which(관계대명사)와 on which(전치사+관계대명사)의 구분 19. 강조용법과 관계사 20. 의문대명사와 관계대명사의 what 제5장 도치의 유형 1. 1형식 도치(부사+동사+주어) 2. 2형식도치(주격보어+동사+주어) 3. 분사(구)가 문두에 위치할 때의 도치 4. 가정법도치 5. 문두에 부정어가 올 때의 도치(부정어+조동사+주어) 6. 비교급 표현(than)과 접속사 as(~처럼)를 쓰는 문장에서의 도치(‘대부정사와 대동사’ 참조) 7. So+V(조동사)+S(주어) 표현에서의 도치(‘so+조동사+주어/so+주어+조동사의 표현’ 참조) 8. 인용문(“ ”) 표현에서의 도치 9. 관계절 내에서의 도치 제6장 대명사 1. a few, few, a little, little의 표현 2. 인칭대명사의 제약 3. 대명사 that(those)을 써야 하는 경우 4. some, any, all의 가산, 불가산 명사 표현 5. 재귀대명사의 관용적 용법 제7장 대(代)부정사와 대(代)동사 1. 대부정사 2. 대동사 3. so+조동사+주어 와 so+주어+조동사의 표현 4. not either/neither의 구분과 neither/nor의 공통점과 차이점 제8장 의문사 1. 의문부사 How의 대표적 2가지 용법 2. 전치사의 목적어로서의 의문사 + to부정사구 3. 의문사화하여 문두에 올 수 없는 4형식 구문에서의 간접목적어 4. 종속접속사, 관계부사, 의문부사의 when, where 제9장 시제 1. 가정절과 조건절의 차이 2. remember, regret, forget+~ing/to~의 시제표현 3. 준동사의 시제/준동사의 완료시제 표현 4. 주절의 시제와 종속절의 시제 비교 5. 직설표현의 가정법 전환방법 6. 확신, 추측의 의미를 가지는 조동사의 표현과 시제 7. 때(when/until/before/as soon as/while/after/once)와 조건(if/as long as/as far as)을 나타내는 부사절에서의 시제표현 8. 제안, 주장, 요구, 명령류의 동사의 시제 표현 9. 시간부사와 동사의 시제 일치 10. 영문법의 12가지 시제표현 제10장 목적어 1. 영문법에서의 목적어 2. 목적어를 가지는 형용사들 3. 목적어와 목적보어/부사구의 도치 4. 목적어의 형태에 따라 의미가 바뀌는 동사들 5. that절을 목적어로 가진 3형식 문장의 5형식 전환 6. 직접목적어(절)가 부사구(전치사+명사)로 바뀌는 동사들 제11장 형용사, 부사 1. 형용사의 어순 2. as~as 사이에 들어가는 형용사/부사의 표현 3. very와 much의 수식 4. 전치사적 부사(on, off, up, down 등)의 유의할 점(‘인칭대명사의 제약’ 참조) 5. every/all/this/that/next/last의 시간부사화 6. 지시부사와 유도부사의 there 7. 후치형용사의 표현 8. 감정형용사의 ~ing/~ed 표현 9. 전치사구의 구분(형용사구/부사구) 10. with+추상명사/of+추상명사의 표현 11. the+비교급/the+비교급 표현의 이해 12. 라틴어(junior/senior/superior/inferior/prefer)의 비교 표현 13. very, too, so 표현의 구분 14. like, alike/live, alive와 almost, mostly의 구분 15. 수사(數詞) 뒤에 오는 복수명사의 단수 표현 16. used to V/be used to ~ing/be used to V의 구분 17. nothing but과 anything but의 표현 제12장 whether/if(~인지 아닌지) 1. ‘~인지 아닌지’의 의미로서 if/whether가 사용되는 조건 2. ‘~인지 아닌지(명사절)’의 의미로서의 if/whether의 사용법 3. 명사절과 부사절에서의 whether 제13장 접속사 1. doubt if와 suspect that의 구분 2. be proud of how는 맞고 be proud that how는 틀리는 이유 3. 단독부사구와 형용사절(관계절)의 수식을 받는 부사구의 비교 4. so+(형용사/부사)+that과 so that+(can, will)~의 표현 5. 절의 종류와 성격/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 6. 전치사와 접속사 기능을 같이 가지고 있는 단어들 (since/until/before/after) 7. 같은 의미지만 접속사와 전치사(구)로 쓰이는 단어들(because/because of/while/during/though/despite) 8. 접속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법적 제약 사항 제14장 전치사 및 표현 1. 전치사 in의 대표적 용법 2. like의 4가지 품사 3. better than과 rather than의 구분 4. 전치사로 쓰이는 to의 표현 5. by(~까지)와 until(~까지)의 구분 6. than이 들어간 헷갈리는 표현들 7. as, so, the same, such+as의 표현 8. if ever/if any/if not의 표현 9. 전치사 with의 대표적 용법 부록 부록 1. 어법 문제 예시 및 풀이요령 부록 2. 토익, 토플, 수능 유사 단어
목록
장바구니 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