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의 심리학 - 양준석|이지원|심흥식|김재경|장현정|김윤희 지음
애도의 심리학

저자 : 양준석 , 이지원 , 심흥식 , 김재경 , 장현정 , 김윤희

발행일 : 2025년 01월 21일 출간

분류 : 인문학 > 심리학 > 교양심리 KDC : 철학(180)

정가 : 15,000원

신간안내문 : 다운받기

출판사
출판사연락처
출판사 주소
쪽수
220
ISBN
9791172244743
크기
128 * 188 mm

도서분류

인문학 > 심리학 > 교양심리

도서소개

애도란 상실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삶의 존엄성을 회복하는 과정이다! 슬픔을 마주할 용기가 있을 때 우리는 상실과 아픔을 딛고 더 나은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 6인의 애도 전문가가 알려주는 상실과 회복의 치유 여정 우리는 살면서 수많은 상실과 슬픔을 경험한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나 실연일 수도 있고, 직장에서의 해고나 부당징계일 수도 있고, 병마로 신체 일부를 잃을 수도 있고, 반려동물을 상실할 수도 있다. 그 어떤 경우를 막론하고 상실과 슬픔은 견디기 어려운 경험이다. 이러한 경험을 제대로 애도하지 못하고 그 슬픔의 무게를 세월에 맡긴 채 일상을 반복하는 무력감을 겪은 경험이 한두 번씩은 있을 것이다. 살기 위해 상실을 부정하기도 하고, 우울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애착과 의존 정도가 컸던 대상과의 상실 경험은 함께했던 삶을 잃어버리게 하며, 나와 세상과의 관계에서 ‘멈춤 현상’을 경험하게 한다. 바삐 움직이는 일상 속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른 채 관성대로 움직이거나 지난 시간을 반추하면서 살아가게 된다. 시간이 약이라고 달래보지만, 시간이 흐른다고 해서 상실과 슬픔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더 큰 무게와 압박으로 다가와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기도 한다. 이 책은 다양한 상실과 애도 경험을 바탕으로 상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애도의 방법을 나누는 책이다. 이를 통해 지금도 상실과 슬픔으로 괴로워하는 애도자들과 애도자들을 도우려는 이들에게 작은 마음의 공간이 되고자 한다.

저자소개

양준석 철학박사, 애도상담 전문가. ‘마음애터’에서 애도 집단 프로그램 웰바이(Well-bye)를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 『코로나를 애도하다』, 『죽음의 시공간』(공저) 등이 있으며 『자살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를 공동 번역했다. 이지원 철학박사. 죽음 교육과 상실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생사학아카데미 대표를 맡고 있다. 저서로 공저 『사람은 살던 대로 죽는다』, 『생사학 워크북 1』, 『죽음 교육의 이론과 실제』가 있다. 심흥식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국제공인 죽음 수련 감독 FT이며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고려대 죽음 교육 연구센터 책임연구원직을 맡고 있다. 저서로 공저 『죽음학 교본』이 있다. 김재경 한림대학교 생명교육융합학과 생사학 전공 박사 수료. 생사인문학 강사 및 생사문화기획자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공저 『사람은 살던 대로 죽는다』, 『생사학 워크북 2』가 있다. 장현정 한림대학교 생명교육융합학과 생사학 전공 박사 수료. 상담심리 전문가이자 애도상담가로서 펫로스 애도 연구회 대표로 활동한다. 펫로스 자조 모임 ‘강쥐별과 냥이별’을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 공저 『생사학 워크북 2』가 있다. 김윤희 가톨릭대학교상담심리대학원 석사. 한국상담심리학회 2급 상담심리사이며 미국 펫로스 협회와 펫로스 파트너즈 전문가 과정을 수료했다. 펫로스 애도 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한다.

목차

들어가며 - 떠나보내는 길 위에서 제1장 상실과 애도 1. 상실(Loss)의 유형 2. 상실의 여러 측면들 3. 사별, 비탄, 애도 제2장 대상 상실 1. 부모와의 사별 경험 2. 배우자와의 사별 경험 3. 자녀와의 사별 경험 4. 반려동물의 상실 경험 제3장 생애주기별 상실 1. 아동기 사별 경험 2. 청소년기 사별 경험 3. 성인기 사별 경험 4. 노년기 사별 경험 제4장 상실과 슬픔 반응 1. 비탄은 질병인가 2. 다양한 비탄 반응 3. 정상적 비탄 반응 제5장 특별한 슬픔 반응 1. 복합적(병리적) 비탄 반응 2. 지속성 복합사별 장애(DSM-5) 3. 급성 비탄 4. 박탈된 비탄 5. 일시적 비탄 급증 반응 6. 기념일 비탄 반응 제6장 애도 과정과 과업 1. 퀴블러 로스의 단계이론 2. 애도 과업 3. 슬픔의 수레바퀴 이론 제7장 애도의 심리학 1. 프로이트의 애도이론 2. 볼비의 비탄의 단계이론 3. 스트로베와 슈트의 이원 과정이론 4. 클라스, 실버만, 닉만의 지속성 유대감 이론 5. 보나노의 회복탄력성 이론 6. 니마이어의 의미 재구성 이론 제8장 애도 상담과 치료 1. 돌봄 전략의 연속 체계 2. 애도 상담과 애도 치료 3. 애도 상담의 원리 4. 애도 상담과 치료의 목표 5. 애도 상담 대상 6. 애도 상담자의 3가지 역량 7. 상담 관계 8. 애도 상담 시기 및 장소 9. 위기에 처한 사별자 식별하기 제9장 슬픔 회복 방법 1. 건강한 애도 관련 요소 2. 슬픔 회복 방법 3. 애도적 개입으로서 회원재구성 제10장 사회적 애도와 코뮤니타스 1. 사회적 재난과 애도 2. 작은 장례식 3. 애도 코뮤니타스 참고 문헌
목록
장바구니 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