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아닌 인간 같은 AI에 대한 고찰
생성형 AI의 발전과 그에 따른 인간 사회의 변화, 그리고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해 성찰한다. 인간이 AI와 상호작용하면서 마주할 수 있는 도덕적, 철학적 문제를 탐구하며 특히 해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을 중심으로 AI의 윤리적, 사회적 역할을 분석한다.
AI는 단순히 기계적 작업을 넘어서,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고,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유능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인간의 본질, 자유, 평등, 책임 등 중요한 가치를 어떻게 지켜갈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질문으로 남아 있다. 이 책은 10개의 핵심 주제를 통해 AI와 악의 평범성의 관계를 다룬다. ‘악의 평범성’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으며, AI의 논리적 능력과 인간 지능의 차이를 논의한다. AI의 목적과 도구로서의 기능을 탐구하고, 인간 노동이 AI에 필수적인 사전 작업으로 제공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자유, 평등, 책임과 같은 철학적 개념을 AI 시대에 맞게 재조명하며,AI가 스마트한 아이히만처럼 기능적 사고를 넘어서 감정적, 윤리적 사고를 결여한 존재임을 고찰한다. AI가 도구로서의 역할을 넘어선 존재로 발전하는 시대에, 그 사용과 통제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다루는 중요한 논의를 이끌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