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귀촌
“악양에 한번 살아봐요” --- 12
악양 속으로 한 걸음 더 --- 16
5일장 나들이 --- 20
귀촌, 그 로망과 욕망의 변주 --- 23
고유제(告由祭) 산행 --- 25
섬진강 모래톱에서 --- 27
농가 창고를 짓기까지 --- 28
건축 허가가 떨어졌습니다 --- 30
칡덩굴로 뒤덮인 황무지가 집터로 --- 31
2 집 짓기
단순하고 거칠게 --- 36
새벽 단상 --- 36
쪽빛 하늘, 주홍빛 대봉감 --- 37
벽체가 서고 지붕이 덮이니 --- 38
매화 한 가지에 봄이 열리고 --- 40
“잘 가요, 압둘라” --- 41
매화는 절정인데, 집 짓는 일은 더디고 --- 42
땀방울에서 봄 냄새가 피어오릅니다 --- 44
고사리 한 자루 꺾으려면 삼천 배를 해야 --- 46
‘입석길 90-○○○’ --- 48
모종 심고 더덕씨 뿌리고 --- 52
처음으로 택배가 도착했습니다 --- 53
드디어 집의 사용승인이 떨어졌습니다 --- 54
거친 산촌 생활에도 조금씩 윤기가 돌고 --- 55
이 집에는 창이 많습니다 --- 56
“다 제 눈에 안경일 뿐” --- 58
분명 멧돼지의 소행일 텐데요 --- 61
3 지리산 둘레길
꽃무릇이 피었습니다 --- 64
재선충 감염에는 백약이 무효라고 하나 --- 66
지리산 둘레길 --- 67
섬진강 물색에도 가을빛이 섞여들고 --- 69
마루는 어찌되었을까요? --- 70
4 텃밭
생명 가꾸기의 즐거움 --- 74
매화 가지 하나 꺾어 다관에 꽂았습니다 --- 77
대봉감나무 묘목 쉰 그루 --- 79
매화 향기 산을 넘고 강을 건너 --- 81
화원이나 농원 앞을 그냥 지나치지 못합니다 --- 81
마당 잔디 까는 데 꼬박 사흘 --- 84
고추 15, 토마토 15, 가지 6, 오이 6, 여주 2 --- 85
찻잎 시들키기 좋은 날 --- 86
차 한 잔에 마음을 담고 봄을 담아 --- 88
“죽순 수확 기념으로 곡차 한잔합시다” --- 89
오디 따 먹는 산비둘기 떼 소리에 --- 90
바랭이, 개비름, 도둑놈가시 --- 92
“사라바(さらぱ)!!” --- 93
5 자미산방
자연의 시간 속으로 --- 98
벌떼의 습격, 119의 출동 --- 100
가을은 도둑처럼 찾아들고 --- 102
가을이 익어가고 있습니다 --- 106
형제봉 자락에서 맞는 두 번째 가을 --- 106
사람도 자연도 잠시 쉬어가는 날 --- 110
표고목을 들여왔습니다 --- 110
집 이름을 ‘자미산방(紫薇山房)’으로 --- 112
“낙부천명부해의(樂夫天命復奚疑)” --- 116
식구가 하나 늘었습니다 --- 119
6 소소한 일상
기다림의 시간, 설렘의 시간 --- 122
‘거침’과 ‘야생’의 아름다움 --- 123
아침에 눈뜨면 창밖의 초목이 인사하고 --- 126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 --- 129
3월이 갑니다 --- 134
할미꽃 --- 134
자미산방에 밤이 찾아들면 --- 136
꽃이 지면 잎이 돋아납니다 --- 137
층층나무꽃이 피면 --- 139
산촌의 봄날 오후 --- 141
날이 밝으면 저절로 눈이 떠지고 --- 142
열 살 소년이 감꽃을 줍고 있습니다 ---145
7 선돌이
우리 강생이 ‘선돌이’ --- 148
유박(油粕)을 아십니까? --- 150
1년의 시간이 빚어낸 풍경들 --- 152
“하늘의 그물은 성긴 듯하나…” --- 156
녹차 한 잔 앞에 놓고 --- 158
장마가 길어질 징조일까요? --- 162
선돌이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요? --- 162
어린 생명이 죽음의 문턱을 넘어 --- 164
자미화가 피기 시작합니다 --- 166
자연의 질서는 한 치 어그러짐이 없어 --- 169
8 가을 악양
자고 나니 가을 --- 174
“꽃무릇 피고지면 밤 줍기가 시작된다” --- 176
“꽃보다 단풍”--- 179
1년의 기다림, 첫 수확 --- 181
조만간 서리가 내릴 텐데… --- 183
계곡 바람 맞으며 감 말랭이는 맛을 더해가고 --- 185
거두지 못한 텃밭의 무 배추 --- 188
또 한 해가 저물어가고 있습니다 --- 191
9 한 걸음 더 자연 속으로
새해에는 적당히 건강하고 적당히 행복하길 --- 198
선돌이는 자주 마실을 갑니다 --- 199
“기다림은 내 평생의 업(業)이었습니다” --- 201
비도 잦고 기온도 들쑥날쑥 --- 203
“호우지시절(好雨知時節)” --- 205
금낭화는 계곡물에 휩쓸려 간 것일까요? --- 207
찻잎 따는 동안 속진(俗塵)의 잡념 다 사라지고 --- 208
사람이 하는 일은 여기까지 --- 210
개망초꽃 --- 211
그들은 산촌의 고요와 평화로움을 부러워하고 ---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