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정원이면 좋겠습니다 - 라이너 마리아 릴케 지음
내가 정원이면 좋겠습니다

저자 : 라이너 마리아 릴케 번역 : 장혜경

발행일 : 2025년 01월 20일 출간

분류 : 문학 > 해외시 > 독일시 KDC : 문학(850)

정가 : 15,000원

출판사
출판사연락처
출판사 주소
쪽수
96
ISBN
9791199036512

도서분류

문학 > 해외시 > 독일시

도서소개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시와 나눈 대화 청소년 시절부터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시를 많이 읽었습니다. 한번 읽어서는 이해가 안 되는 어려운 시도 많았지만, 그래도 어디를 가나 늘 그의 시집을 들고 다녔지요. 그의 시를 이해하고 싶다는 호기심과 바람은 시간이 갈수록 커져만 갔고요. 언어와 운율을 가지고 노는 그의 유희는 지금까지도 저의 마음을 사로잡습니다. 고요한 언어로 신비한 세상을 그려내고, 다양한 차원에서 자신의 주제를 서정적으로 풀어내는 그의 방식은 참으로 매력적입니다. 그의 표현은 정말 우아하고 세련되었지요. 사실 그의 언어에는 형이상학적 차원에 버금가는 완성도와 농도가 담겨 있거든요.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시를 읽으면서 저는 그가 쉬지 않고 존재를 추구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존재, 즉 말이 진실이 되는 바로 그 지점 말입니다. 그러나 아마 그도 느꼈듯, 그는 자신이 원하는 그 정도의 완벽함에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문학이라는 형식으로는 불가능한 일이었을 겁니다. 그러기에 그는 성공의 봉우리에 도달한 후 10년 동안이나 글을 쓰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 힘든 시간을 거친 후 마침내 그의 언어는 다시 봇물 터지듯 터져 나왔습니다. 그가 문학을 통해 순수한 단어를 넘어서는 세상으로 가겠다는 자신의 목표를 이루었는지는 모를 일입니다. 그러나 그의 문학이 갖는 위대함, 그의 언어에 담긴 음악성과 섬세함은 이론의 여지가 없습니다. 제가 깊디깊은 그의 문학으로 들어가서 그림으로 그의 시와 대화를 나누고자 노력한 이유도 바로 그 때문입니다. 저는 릴케의 풍성한 작품 중에서 자연과 직접 관련이 있는 시들을 골랐습니다. 그리고 그의 길을 따라 걸으며, 추상으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도 단순한 복사를 넘어서는 그림을 그리려 노력하였습니다. 물론 각 시의 주제도 잊지 않았습니다. 소재의 깊이를 붓과 물감과 물을 이용해 종이에 담는 것이 저의 목표였으니까요. 이리저리 따져보았지만 역시나 이번에도 가장 어울리는 기법은 수채화였습니다. 수채화를 이용하면 가까이에서 멀리 뻗어 나가는 그 황홀한 변화를 가장 잘 담아낼 수 있으니까요. 물론 그림도 제 나름의 시적 매력을 풍깁니다. 그러나 그렇게 되도록 저를 자극한 것은 항상 릴케의 시였습니다. 제 그림이 릴케의 시에 깊이를 더했을지,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순수한 형태의 수채화 -물과 물감의 이 매력적인 유희-는 자체의 역동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도 그 정신적, 기술적 능력에는 한계가 있었을 겁니다. 그러나 저의 그림이 이 책의 독자들에게 시로 다가갈 수 있는 길을 닦아준다면 그것으로 이미 제가 시인과 나눈 그림 대화는 충분히 보람 있는 작업일 것입니다.

상세이미지


저자소개

저자 라이너 마리아 릴케 1875년, 프라하에서 태어나다. 본명은 르네 마리아 릴케. 1885년 -1891년, 군사학교를 다니며 처음으로 글을 쓰기 시작하다. 1894년, 첫 시집을 발표하다 1895년 -1900년, 대학입학 자격시험을 마친 후 프라하, 뮌헨, 베를린에서 미술사와 문학사, 철학을 공부하다. 초기 시들, 첫 산문을 발표하다. 이름을 르네에서 라이너로 바꾸다. 20세기 초부터는 보르프스베데에서 파리에 이르기까지 두루 거처를 옮겨 다니며 현대문학의 가장 중요한 시인으로 떠오르다. 많은 단편소설, 한 편의 장편소설, 예술과 문화를 주제로 한 수많은 글을 발표하고, 외국 문학작품과 시를 번역하며, 엄청난 양의 편지를 남기다. 1924년 -1926년, 결핵으로 요양원 생활을 하다. 1926년, 스위스 몽트뢰에서 눈을 감다. 시 작품 삶과 노래 (1894년) 가신에게 바치는 제물 (1895년) 기다림, 민중에게 바치는 노래 (1896년) 꿈의 왕관을 쓰고 (1896년) 강림절 (1897년) 나의 축제를 위하여 (1899년) 기도시집 (1905년) 형상시집 (1902년/1906년) 신시집 (1907년) 신시집 별권 (1908년) 진혼곡 (1909년) 마리아의 생애 (1912년) 두이노의 비가 (1923년) 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 (1923년) 말테의 수기 기도시집 미츄 말테의 수기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반양장) 두이노의 비가(반양장) 모든 이별에 앞서가라 Letters to a Young Poet(양장본 Hardcover) 한 가슴이 무너지는 걸 막을 수 있다면 두이노의 비가 / 오르페우스에게 부치는 소네트 역자 장혜경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독일 학술교류처 장학생으로 하노버에서 공부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주요 역서로는 『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하는가』,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설득의 법칙』, 『가까운 사람이 경계성 성격 장애일 때』, 『오노 요코』 등이 있다. 계절은 다시 찾아옵니다 양치 식물 이기는 언어 말문이 막힐 때 나를 구하는 한마디 현명한 이타주의자 냄새 킁킁 침묵을 배우는 시간 먼지: 거실에서 우주까지, 먼지의 작은 역사 자기만 옳다는 사람과 대화하는 법 내가 누구인지 아는 것이 왜 중요한가 엮음 한스-위르겐 가우데크 Hans-Jürgen Gaudeck 1941년 12월 11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사무직 직업 교육을 받은 후 베를린에 있는 대학 경제학 연구소에서 공부하였고 1966년 경제학 학사 학위를 땄다. 일을 하면서 그림에도 열정을 보여 화가 그룹 “메디테라네움”에서 활동하였고, 그 기간 “자유 베를린 미술 전시회”에 참여하여 많은 작품을 선보였다. 이어 수많은 개인 전시회를 열었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미국 등지를 두루 여행하며 넓은 세상을 만나고 있다. 자신이 그린 아름다운 그림에 고운 문학작품을 담아낸 책을 계속해서 펴내고 있다. 계절은 다시 찾아옵니다
목록
장바구니 담기